반응형
입추와 처서의 뜻과 유래, 차이점을 정리했습니다. 24절기 중 여름과 가을의 경계인 입추·처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, 절기별 특징을 간결하게 확인하세요.
✅ 입추(立秋)의 유래와 의미
입추는 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로, '가을이 시작된다'는 뜻입니다.
태양의 황경이 135도에 도달할 때로, 양력으로는 8월 7일~8일경에 해당합니다.
중국 주나라 때부터 사용된 절기 체계로, 농경 생활에서 중요한 기준이었습니다.
📍 의미: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
📍 시기: 양력 8월 7~8일경
📍 황경 기준: 태양 황경 135도
✅ 처서(處暑)의 유래와 의미
처서는 '더위가 물러간다'는 뜻을 가진 스물네 번째 절기 중 열네 번째입니다.
양력으로는 8월 23일~24일경에 해당하며, 말복 이후 찾아오는 늦여름 시기입니다.
이 절기를 지나면 아침저녁으로 기온이 내려가고, 본격적인 가을 기운이 감돕니다.
📍 의미: 더위가 사라지는 시기
📍 시기: 양력 8월 23~24일경
📍 황경 기준: 태양 황경 150도
✅ 입추와 처서의 차이점
항목 | 입추 (立秋) | 처서 (處暑) |
절기 순서 | 13번째 절기 | 14번째 절기 |
시기 | 8월 7~8일경 | 8월 23~24일경 |
의미 | 가을의 시작 | 더위가 물러남 |
체감 기온 | 무더위 지속 | 기온 점차 하락 시작 |
농사 기준 | 김장 채소 파종 시작 등 | 벼 이삭이 패는 시기 |
✅ 함께 알아두면 좋은 점
- 입추 무렵에도 더위는 지속되며, 이를 '입추 더위'라고 합니다.
- 처서 이후에는 태풍이 자주 발생하므로, 농가에서는 수확 전 대비를 합니다.
- 처서가 지나면 모기 개체수도 줄어든다는 속설이 있습니다.(러브버그 좀 잡아가!!)
입추, 처서, 입추 뜻, 처서 뜻, 입추 유래, 처서 유래, 입추 처서 차이, 24절기, 절기 의미, 가을 시작
반응형